전쟁 기계 vs. 국가 장치

참고: 들뢰즈·과타리의 ‘전쟁 기계’의 의미   전쟁 기계를 요약한 대목: “더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았듯 전쟁 기계는 유목민의 발명품이다. 왜냐하면 전쟁 기계는 본질상 매끈한 공간, 이 공간의 점유, 이 공간에서의 이전, 이 공간에 대응하는 인간들의 조성의 구성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전쟁 기계의 유일하고 진정한 정립적 목표다(노모스).” MP 519; ATP 417; 한글본 799쪽. “1) 전쟁 기계는 전쟁을 …
Read More

들뢰즈·과타리의 ‘전쟁 기계’의 의미

학술대회 발표 준비차, 간만에 들뢰즈·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의 몇 대목을 읽었다. ‘리토르넬로’ 고원과 ‘결론’. 특히 결론에서 두 가지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이 발견과 함께, 《천 개의 고원 》을 꼼꼼히 통독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긴, 20년 넘게 부분독만 했으니 몸과 머리가 더 굳기 전에 통독이 필요하긴 하다. 첫째 발견. 영어본에서 conjunction이 conjonction의 번역어이면서 동시에 conjugaison의 번역어이기도 …
Read More

《천 개의 고원》과 가브리엘 타르드

들뢰즈가 타르드를 처음 소개한 건 《차이와 반복》(1968)에서였지만, 미시사회학과 관련해서 본격적으로 논한 건 《천 개의 고원》(1980)에 와서다. 크게 두 군데서 타르드를 요약하고 의의를 평가하는데, 그 부분을 다시 번역했다. 원서 264쪽: 프랑스의 68년 5월은 분자적이었고, 거시정치의 관점에서는 그 조건은 더더욱 지각 불가능했다. 이리하여 가장 진보적인 혹은 조직의 관점에서 자신을 가장 진보적이라고 믿는 정치인들보다 아주 편협하거나 아주 나이 …
Read More

시간은 전체이고 열림이다 (베르그손 혹은 들뢰즈)

앞서 올린 포스팅(시간은 물질을 감싸고 있다 (베르그손 혹은 들뢰즈))에 보태, 시간에 대한 들뢰즈의 언급을 추가해야 한다. “중요한 건 집합들과 전체의 구별이다. 만일 그걸 혼동한다면, 전체는 모든 의미를 상실하며, 우리는 모든 집합들의 집합이라는 유명한 역설에 빠진다. 하나의 집합은 매우 잡다한 원소들을 모을(réunir) 수 있다. 그렇더라도 집합은, 상대적으로 닫혀 있건 인위적으로 닫힌 것이건 간에, 닫혀 있다. (…)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