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이란 무엇인가? (2003년의 글)

현 시국을 이해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 글 역시 앞의 ‘파시즘’과 함께 다음 책에 한 꼭지로 수록되었습니다. 권력은 계륵과 같다. 덥석 안을 수도 없고 내팽개칠 수도 없고. 나아가 피할 수도 없고 피하고 싶지도 않은. 권력은 그만큼 요물이기 때문에 다룰수록, 다루려 할수록 논의에 상처가 난다. 그래서 권력을 말하기가 더욱 어려운 일인지도 모른다. …
Read More

한국 니체 연구의 지지부진함 (예) : Perspektivismus

니체 철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로 소개되곤 하는 Perspektivismus (영어로 perspectivism)은 출판된 책에서 니체가 1887년에 딱 한 번 사용했다. FW 354절. 즉, 이 용어는 니체의 주요 ‘개념’이 전혀 아니다. 덧1. 이 용어의 번역어 중 최악은 ‘원근법주의’ 덧2. 출판되지 않은 책에 이 용어가 몇 번 더 나온다고 강변할 수는 있겠으나, 그도 3번 정도에 불과. 그렇다면, 이 …
Read More

비판은 긍정이다 : 비판의 본질을 묻는다

‘비판’의 본질이 무엇인지 검토해야 할 때다. 한국의 담론 생산자, 이른바 지식인에게 ‘비판’의 의미가 많이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도 그렇긴 하지만, 한국의 식자층이 유독 심하게 삐딱한 건 부인할 수 없다. 나는 이 또한 ‘비판’의 의미를 독자적으로 정립하지 못한 사대주의 혹은 노예근성 탓이라고 진단한다. 이 문제와 관련해 나는 인문학의 환골탈태를 주장했으며, 《뉴노멀의 철학》(2020)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김현에서 …
Read More

니힐리즘의 사상 : 니체, 이 사람을 보라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 그가 죽은 지 100년도 훨씬 넘게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새롭고 낯설다. 그는 마치 갓 쓰인 것처럼 읽힌다. 또는 읽히지 못한다. 니체가 읽히지 못하는 것은, 많은 독자들이 그가 제기한 물음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물음의 중심에 니힐리즘(Nihilismus)이 있다. 흔히 신의 죽음이 니힐리즘을 가져왔다고 한다. 마치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말이 신을 죽이기라도 했던 듯이.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