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용어 설명] homogeneous(동종), heterogeneous(이종)

꽤 자주 나오면서도 정확한 뜻으로 번역되지 않는 용어가 homogeneous와 heterogeneous, 그리고 명사형인 homogeneity와 heterogeneity다. 이 말들의 성분은 이렇다. homos(같은), heteros(다른), genos(종種). 따라서 homogeneous는 ‘동종(同種)’이고, heterogeneous는 ‘이종(異種)’이다. 가끔 ‘동질’, ‘등질’, ‘이질’, ‘이질혼재’ 등으로 옮기는 이도 있는데, 거의 문맥에 상관없이 ‘동종’과 ‘이종’으로 하면 잘 통한다. 그런데 이것 아시는가? genos에서 gender(젠더)가 유래했다는 것을? 오늘날의 용법과 꽤나 달리, 젠더는 …
Read More

[철학 용어 설명] unit(단위), unity(통일)

영어의 unit과 unity는 프랑스어 ‘위니테(unité)’, 독일어 ‘아인하이트(Einheit)다. 프랑스어나 독일어에서 ‘하나'(un/une, ein)를 뜻하는 부정관사의 명사형이다. 어원을 거슬러 가면, 하나를 뜻하는 라틴어 우누스(unus)에서 유래한 우니타스(unitas)(하나임)이며, 프랑스어를 거쳐 영어로 왔다. 따라서 영어의 뜻은 프랑스어 위니테를 통해 이해해야 좋다. unit은 유클레이데스의 그리스어 ‘모나스(monas)'(하나임(unity))을 영어로 번역한 존 디(John Dee)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하나라는 건 무슨 뜻인가? ‘하나’는 세는 행위에서 비롯한다. 사과가 …
Read More

[철학 용어 설명] entity(존재물)

일반인에게 낯선 단어 중 하나가 entity다. entity를 흔히 ‘실체’라고 옮기곤 하는데, 철학에서 ‘실체’는 substance의 번역어로 쓴다는 점에서 오해의 소지가 많다. 여러 정의가 있겠지만, 보통 실체는 ‘다른 것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entity는 무엇일까? 우선 어원부터 보자. entity는 라틴어 entitas에서 유래했고, 이건 다시 ens에서 왔다. 이 말은 그리스의 철학 용어 ‘토온(to on)'(‘있는 것’을 …
Read More

관찰과 느낌의 차이 (움베르토 마투라나를 읽기 위한 자세)

보는 것, 더 정확히 말하면 관찰하는 것은 관찰자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진술이다. 관찰자 안에서 일어나는 일은 느낌이다. 또한 느낌은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느낌은 바깥에서 시작할지라도 안에서 완성된다. 종의 진화 과정에서, 또 개인 체험의 역사 속에서, 느낌은 바깥과 안의 ‘짝짓기(coupling)’의 결과다. 몸 바깥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얼마간 객관적인 입장을 취할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