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강의에 이어… 들뢰즈의 이미지론 특강 (셋째 시간) (2017년 1월 25일, 성균관대) by 김재인 –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 : 시간이란 무엇인가? 지금까지 운동-이미지가 무엇인지 말씀드렸습니다. 운동-이미지는 특히 영화에서 잘 드러나지만, 세분될 수 있어요. 영화는 이걸 더 잘 우리에게 볼 수 있게 해주는 사례입니다. «협상들»(1990)에서 두 권의 «영화»와 관련한 인터뷰가 있는데, 이걸 참고합니다. 한 문장만 미리 보겠습니다. …
Read More
Category:난장
들뢰즈의 이미지론 특강 (둘째 시간) (2017년 1월 25일, 성균관대)
* 2017년 초에 성균관대학교에서 진행한 특강의 일부를 정리했습니다. 들뢰즈가 이미지, 운동, 물질 개념을 갱신하고, 그것을 영화와 연결하기 위한 첫 시도입니다. 영화를 논의하면서 들뢰즈는 이미지 자체에 좀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1983년에 나온 «영화»라는 제목의 1권 ‘운동-이미지’, 1985년에 나온 2권 ‘시간-이미지’가 있습니다. 여기서 이미지라는 게 뭐냐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룹니다. 한 가지만 짚고 가자면 ‘생각에 대한 …
Read More
[인터뷰] AI 시대에 인문학을 배워라? [SDF다이어리] 2023.07
원문 (원문의 이미지는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늘 ‘SDF 다이어리’는 미술 이야기로 시작해보려 합니다. 여기 이 그림을 보시죠. ▶ 제이슨 앨런의 수상작 ‘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 출처 디스코드 이 그림을 두고 지난해 8월, 미술계가 발칵 뒤집혔습니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 미술대회에 출품된 ‘스페이스 오페라 극장’이란 그림인데, 디지털 아트 부문 1위를 차지했습니다. 수상자는 화가가 아닌 게임 기획자 제이슨 …
Read More
나카마사 마사키(仲正昌樹), «들뢰즈+과타리 «안티 오이디푸스» 입문 강의»(2018) 유감
나카마사 마사키(仲正昌樹)가 쓴 «들뢰즈+과타리 «안티 오이디푸스» 입문 강의»(2018)를 조금 살펴봤는데, 기대에 못미친다. «들뢰즈+과타리 «천 개의 고원» 입문 강의»(2024)도 봤는데, 마찬가지다. 조금 나은 해석이 나왔나 했는데 실망이다. 두 대목을 통해 검토한다. 우선 1장 1절의 앞부분을 해설한 22~27쪽을 보자. 다음은 해당 대목 전체를 직접 번역한 것이다. 이를 내가 해석한 것과 비교해 보라. 다음에 제1장 5절의 앞부분을 해석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