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잘 쓰는 법

글 쓰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단연코, 마감이다! 마감이 없으면 글은 결코 끝나지 않는다. 써야 할 글은 물론 주제에서 시작한다. 어떤 내용을 왜 쓰는가가 당연히 중요하다. 청탁을 받은 것이건 기고를 위한 것이건, 아니면 페북에서 따봉 좀 받으려는 것이건, 아무튼 글은 주제에 이끌린다. 주제를 어떻게 요리할 것인가? 어떤 재료를 갖고서? 재료는 어디에서 수집해야 할까? 이렇게 …
Read More

비판은 긍정이다 : 비판의 본질을 묻는다

‘비판’의 본질이 무엇인지 검토해야 할 때다. 한국의 담론 생산자, 이른바 지식인에게 ‘비판’의 의미가 많이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도 그렇긴 하지만, 한국의 식자층이 유독 심하게 삐딱한 건 부인할 수 없다. 나는 이 또한 ‘비판’의 의미를 독자적으로 정립하지 못한 사대주의 혹은 노예근성 탓이라고 진단한다. 이 문제와 관련해 나는 인문학의 환골탈태를 주장했으며, 《뉴노멀의 철학》(2020)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김현에서 …
Read More

다독(多讀)은 쓸모없다?

나는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을 신뢰하지 않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 사람의 ‘생각’을 신뢰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논하려면, 무엇보다 ‘왜 읽는가?’라는 문제부터 답해야 한다. 책을 읽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깊게 생각하게 하는 자극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책에는 정보, 지식, 기술 같은 것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것들이 생각의 땔감이 된다는 점은 분명하다. 문제는 땔감이 얼마나 필요한가에 …
Read More

한글 혹은 한국어 : 발음 기호와 문자 언어

발음 기호를 문자 언어로 쓰는 나라는 인구 규모가 좀 되는 나라 중에서 한국(북한 포함)이 단연 돋보이지 않을까? (터키는 100여 년 안 되는 역사밖에 없으니… 터키는 1927년 문자개혁.) 게다가 그것이 600년 가까이 강제되었으니, 이 현상의 영향력에 대한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공식어로 한문이 쓰였지만, 구어에서 한글(훈민정음과 그 변이형)의 영향은 무척 컸을 것이다.) 나는 이런 언어적 특징이 한국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