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의 세 개념 번역: 실력 puissance, 내공 intensité, 기운 affect

나는 한국 들뢰즈 연구자 1세대다. 《베르그손주의》를 번역 출간한 게 1996년이다. 그후로도 계속 들뢰즈를 연구했고, 《천 개의 고원》(2001), 《안티 오이디푸스》(2014)을 번역 출간했다. 30년 넘게 들뢰즈를 보면서 항상 주요 개념을 어떻게 옮겨야 할지 고민해왔다. 나는 최근(?)에 들뢰즈의 주요한 세 개념을 번역할 한국어를 찾았다. 실력(puissance), 내공(intensité), 기운(affect). 물론 언제 어느 맥락에서나 이 용어가 맞다고 고집하려는 뜻은 아니다. 일반적 …
Read More

언어의 해상도는 굉장히 낮다

나는 초거대 언어모델(LLM) 인공지능의 추앙자가 ‘언어의 해상도가 굉장히 낮다’는 초보적인 사실을 왜 외면하려 하는지 알 수 없다. 아마 얀 르쿤이 드문 예외일 텐데, 르쿤은 LLM의 한계를 초기부터 지적해왔고 다른 모델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나는 르쿤이 프랑스에서 박사학위까지 받았다는 점을 지적하곤 했다. 영어권이 아닌, 프랑스 정규교육을 받은, 드문 CS 과학자라는 뜻. 다른 이들과 크게 다른 르쿤의 통찰은 …
Read More

노무현 대통령 9주기 기일을 맞아 : 내부에 총질한 자를 잊지 말자

(오늘은 15주기 기일입니다. 6년 전인 2018년 5월 23일에 쓴 글입니다. 생각은 지금도 한결같습니다.) 오늘은 노무현 대통령의 9주기 기일이다. 2009년 5월 23일 새벽, 노 대통령은 주변의 모든 지인과 관련인까지도 옭죄어 들어온 이명박의 압박 수사에 모두를 보호하고자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했다(가끔 ‘정치보복’ 운운하는 돌대가리가 있는데 이명박은 ‘정치탄압’을 받은 적이 없어서 ‘보복’이라는 말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 노 …
Read More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3편) : 종이책은 완성된 기술이다

(앞선 글: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1편)”]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2편) : 국내 연구 현황])   이미 완성된 기술이라는 게 있다. 극단으로 완성되어 앞으로 더 발전될 여지가 없는 것들이다. 가령 바퀴, 의자, 숟가락, 가위, 잔, 망치 등은 기능과 디자인이 극히 효율적이어서 보태거나 뺄 것이 없다. 그래서 앞으로 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