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종합: 연결 종합 또는 생산의 생산 종합의 첫 번째 형식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앞서 보았듯, 잘 보면 “그리고, 그 다음에…”라고 했습니다. 일부러 시간적인 의미로 “그다음에”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et puis”에서, “puis”는 시간적 연속(그다음에, 그리고 나서, 그 후에), 장소의 연장(더 멀리로, 그 뒤에, 그다음에), 공간적 열거(그리고 또, 게다가, 그다음에) 등의 의마가 있습니다. 본래는 시간적 의미만 갖고 있진 않습니다. …
Read More
Category:연재 모음
[연재] 《안티 오이디푸스》 강의 007
욕망 기계, 부분대상들, 흐름: 그리고… 그다음에… 자, 그 다음에 얘기가 확 전환됩니다. 소절 제목에 세 가지 개념이 등장합니다. 욕망 기계, 부분대상들, 흐름. 또한 ‘그리고… 그다음에…’라는 접속사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다음에…’는 세 가지 하위 부류로 나뉘는 넓은 의미의 생산 말고 그렇게 나뉜 셋 중 하나인 좁은 의미의 생산, 즉 ‘생산의 생산’의 형식입니다. 이걸 다른 …
Read More
[연재] 《안티 오이디푸스》 강의 006
과정의 둘째입니다. 원서 10쪽의 새로 시작하는 문단입니다. “둘째로, 더군다나 ‘인간’과 ‘자연’의 구분은 없다.” 이 부분은 맑스의 1844년 《경제학·철학 초고》(아래에서는 《초고》)를 굉장히 깊게 참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주4에 나오는 제라르 그라넬(Gérard Granel)이라는 학자의 글을 굉장히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L’Ontologie marxiste de 1844 et la question de la coupure,” in l’Endurance de la pensée, Paris: Plon, 1969). 이 논문에 …
Read More
[연재] 《안티 오이디푸스》 강의 005
자연과 산업 이제 인간과 자연의 구분을 분열자의 삶 속에서 해체하는 지점까지 왔는데요. 소제목으로 ‘자연과 산업’, 이렇게 달려있죠. 이번에는 인간 활동의 핵심에 속하는 ‘인공’적 측면 또는 ‘산업’의 측면을 재규정하려고 합니다. 이런 것이 다 해체되었을 때, ‘모든 것이 다 기계다, 기계들의 기계다’라는 말이 성립할 수 있습니다. 첫 문장입니다. “분열자의 산책 속편.” 사뮈엘 베케트의 《몰로이》에 나오는 구절들인데요. 베케트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