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대상적 존재란 현실계 그 자체이다.” 여기 나오는 ‘대상적 존재’의 의미는 6회와 23회 강의를 참고하세요. 요약하면, 욕망이 만들어내어 대상의 위치에 정립된 존재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생산된 현실이 욕망의 대상이란 말입니다. 욕망과 대상은 주체와 대상의 관계, 즉 자기가 생산한 것이 자기 앞에 놓이는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 식입니다. ‘자기 앞’이라고, ‘앞에 서 있다’고 했지만 그게 또 …
Read More
Tag:안티오이디푸스
[연재] 《안티 오이디푸스》 강의 026
현실계와 욕망적 생산: 수동적 종합들 이제 반론이 시작됩니다. “욕망이 생산한다면, 그것은 현실계를 생산한다.” 욕망은 현실 세계 또는 영어로 ‘the real’을 생산한다. 라캉의 용어는 ‘the real’을 보통 ‘실재’라고 옮기죠. 그런데 들뢰즈·과타리한테 ‘실재’라고 번역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요. 그냥 현실입니다. 있는 건 다 진짜 있는 거죠. 앞에서 설명한 것을 참고하세요. 심리적 현실과 물리적 현실을 구분하는 것 자체가 사기예요. …
Read More
[연재] 《안티 오이디푸스》 강의 025
결핍으로서의 욕망이라는 관념론적 착상 (환상) 이제 ‘욕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돌아갑니다. 역사적인 고찰을 합니다. 플라톤은 대화편 《소피스트》에서 정치가가 누구인지 묻습니다. 그러면서 인간 활동의 여러 영역을 구분하는 작업을 해요. 인간의 활동에는 ‘생산하는 것’과 ‘획득하는 것’ 두 가지가 있다고 봐요. 획득에는 사냥이나 낚시 같은 게 있어요. 플라톤은 획득과 관련된 인간 활동이 욕망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획득은 없는 것, 결핍된 …
Read More
[연재] 《안티 오이디푸스》 강의 024
극장이냐 공장이냐? 다음 절로 갑니다. 지금 가짜 유물론을 비판하려고 합니다. 분열증에 대한 세 가지 대표적인 특징이 열거되는데, 크레펠린(Kraepelin), 블로일러(Bleuler), 빈스방어(Binswanger), 셋 다 정신의학자입니다. 이 사람들이 찾아낸 개념인 해리(관념 해리라고도 합니다), 자폐증, 시-공간 또는 세계-내-존재입니다. 첫째 개념은 특수한 장애입니다. 둘째 개념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입된 분열자의 특징입니다. 자폐증에서 보이는 망상은 외부 현실과 단절되어 내부 현실 또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