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자 김경희(《미래의 교육》, 손성화 역, 예문아카이브, 2019)는 ‘교육’의 관점에서 ‘창의력(creativity)’을 기르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가 creativity를 ‘창의성’이 아니라 ‘창의력’이라고 옮긴 까닭은, 그것이 교육을 통해 충분히 발달시킬 수 있는 능력이라고 파악하기 때문이다. 김경희는 경상북도 군위군에서 태어나고 자라 대구에서 시집살이를 한 이력이 있는데, 주지하듯 이 지역은 수구적인 유교주의의 본산으로 온갖 여성 차별을 겪었으며, 차별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해 박사학위를 …
Read More
Category:들뢰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한국어 판본을 읽기 어려운 이유 (3)
1편과 2편에 이은 글입니다. A vrai dire, ce sont toutes les formes qui se dissipent, quand elles se réfléchissent dans ce fond qui remonte. Il a cessé lui-même d’être le pur indéterminé qui reste au fond, mais les formes aussi cessent d’être des déterminations coexistantes ou complémentaires. Le fond qui remonte n’est plus au fond, …
Read More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한국어 판본을 읽기 어려운 이유 (1)
철학 책을 읽는 것이 얼마나 어려우며 전문성을 요하는지 예를 통해 살피기로 하자. 예제로 삼은 것은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1장 첫 문단이다. 이 글 맨 뒤에 해당 부분의 이미지를 프랑스어, 영어, 한국어 순으로 첨부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서지 사항은 쉽게 찾아볼 수 있으니 생략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판본과 프랑스 원문을 비교하고, 번역을 수정해서 제시할 것이다. 필요할 때는 …
Read More
2025년 들뢰즈 탄생 100주년 및 사망 30주년 기념 행사
내년 2025년은 프랑스 현대 철학자 질 들뢰즈(1925.1.18~1995.11.4) 탄생 100주년 및 사망 30주년입니다. 들뢰즈가 인류에게 남긴 철학적 선물은 층과 깊이에서 남다릅니다. 서양 철학사의 새로운 해석과 발굴, 혁명과 파시즘 문제를 천착해 내놓은 ‘자본주의와 분열증’ 연구라는 정치철학, 감각의 창조라는 관점에서 본 미학과 예술철학, 기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기술철학, 왕립 과학에 맞선 유목 과학이라는 과학철학의 새 길, 영화를 소재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