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마사 마사키(仲正昌樹), «들뢰즈+과타리 «안티 오이디푸스» 입문 강의»(2018) 유감

나카마사 마사키(仲正昌樹)가 쓴 «들뢰즈+과타리 «안티 오이디푸스» 입문 강의»(2018)를 조금 살펴봤는데, 기대에 못미친다. «들뢰즈+과타리 «천 개의 고원» 입문 강의»(2024)도 봤는데, 마찬가지다. 조금 나은 해석이 나왔나 했는데 실망이다. 두 대목을 통해 검토한다. 우선 1장 1절의 앞부분을 해설한 22~27쪽을 보자. 다음은 해당 대목 전체를 직접 번역한 것이다. 이를 내가 해석한 것과 비교해 보라. 다음에 제1장 5절의 앞부분을 해석한 …
Read More

디지털 플랫폼과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증진

이 글은 아래 문서 중 “AI와 인간의 협업가능성과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김재인, 2020)의 일부입니다. 《문화다양성협약 국내 이행을 위한 논의 – 유튜브에서 AI까지, 21세기 한국에서의 문 화다양성》 4.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문제 – 디지털, 인터넷, 인공지능, 플랫폼은 창작과 표현의 다양성을 가속화했고, 차별적 취향을 가진 소비자의 편익을 증대시켰다 (물음) 3.2 디지털, 인터넷, 플랫폼은 쟁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3.3 …
Read More

KCI 학술지 제도 유감

최근에 한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했다. (200자 원고지 145매)   제목: 공동 뇌와 집단 창의성 (Co-Brain and Collective Creativity)   초록: 생성 인공지능의 등장은 인간의 마음을 다시 돌아볼 좋은 기회다. 철학은 오랫동안 인간의 마음을 탐구했다. 마음은 1인칭적·주관적이어서 객관적·실증적으로 입증하는 게 불가능하다. 하지만 마음 현상에 대한 주관적 보고에 상당수의 사람이 동의한다면 그것은 신경과학을 통한 측정 자료와 비교할 …
Read More

클리셰를 걷어내고 한계를 넘어서: 창의성과 자유로운 실험은 어떻게 이뤄질까

<4분 33초>라는 명곡을 작곡한 음악가 존 케이지는 이런 말을 남겼다. “실험적(experimental)이란 낱말은, 성공과 실패의 견지에서 나중에 판단될 행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고 단순히 그 결과(issue)가 미지인 행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면, 적절하다.” 결과를 모르는 채 자유롭게 행해지는 시도를 ‘실험’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실험을 통해야만 전에 없는 새로운 것이 나올 수 있다. ‘새로움’ 또는 ‘독창성’은 ‘창의성’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