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말하는 한국은 이제 무시하자

나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벌어지는 구체적 사안에 대해 논평하는 것을 신뢰하지 않는다. 전에는 그런 발언을 ‘선진국 사례’로서 참고하곤 했지만, 지금은 그런 자세가 사대주의라고 본다. 내가 차별적 시각을 갖고 있다고 오해할까 봐 설명을 덧붙이는데, 내가 규정하는 ‘외국인’은 ‘외국 거주자’를 가리킬 뿐, 그 외의 다른 뜻은 없다. 몸이 어디에 있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얼마를 거주하지 않으면 외국인으로 봐야 할까? …
Read More

‘악플’ 없는 ‘인기’란 불가능하다

정치인과 연예인과 프로스포츠 선수는 ‘인기’를 먹고 산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점에서 이들이 대중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건 너무 당연하다. 인기가 곧 돈이니까. 말하자면 대중은 돈을 지불한다는 이유로 입방아를 권리로 여긴다(이런 행위가 정당하다는 뜻은 아니다). 또한 이른바 ‘악플’도 ‘인기’라는 카테고리의 안쪽에 있기 때문에 감당해야 할 몫이다. ‘악플’은 ‘인기’의 영역을 선택한 반대급부 아닐까? ‘악플 빼고 인기’라는 말은 논리적으로 …
Read More

김현과 박홍규, 또는 지적으로 저열했던 1980년대를 돌아보며

김현과 박홍규는 내가 직접 배우지 못한/않은 두 대가이다. 더 어리던 시절에는 그 점이 못내 아쉬웠고 내가 몇 살만 더 많았더라면 하는 부질없는 생각을 품었던 적도 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는 생각이 달라졌는데, 그들에게 직접적인 부채감 없이 글로만 그들을 접할 수 있(었)다는 것이 몹시 행운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내가 조금이라도 더 철학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
Read More

한국어 논문이란 무엇인가? (주로 인문사회계열에 해당)

오늘날 유통되는 ‘논문’ 혹은 ‘학술논문’은 엄격한 형식과 규범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이 형식이 통용된 게 채 100년도 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왜 그 형식에 집착하는지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특히 학자 대부분이 한국어로 논문을 쓴다는 점을 고려하고, 어차피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이 읽을 수 없다는 한계까지 염두에 두면, 왜 외국어로 된 논문과의 차별성을 그토록 강조해야 하는지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