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새로운 주제를 연구하는 법 : ‘인공지능 글쓰기’의 예

나의 주전공은 들뢰즈 철학이고 조금 범위를 넓히면 서양 근현대 철학이다. 주제로는 미학과 예술철학, 기술철학, 사회-정치철학다. 이 말은 나의 전문성이 발휘되는 영역이 대체로 그 언저리라는 뜻이다. 하지만 나는 여러 새로운 세부 주제를 연구하기도 한다. 가령 최근에는 ‘인공지능 글쓰기’를 좀 파고 있다. 인공지능은 근 10년 넘게 계속 보고 있으므로 어지간한 논의는 익숙하다. 반면 글쓰기는 개인 경험 차원의 …
Read More

우리는 어떻게 미시 파시스트( micro-fascist)가 되어 가나? (feat. 들뢰즈)

프랑스의 어느 빵집에서는 빵 봉지에 들뢰즈의 문구를 적어 놓았다. 저 유명한 프랑스 현대 철학자 들뢰즈를. 시간을 내어 최대한 원 뜻을 살려 번역해 보았다. “많은 나라에서 옛날 식 파시즘이 아무리 활개 치고 아무리 강력하다 해도, 그것은 작금의 문제가 아니다. 다른 파시즘들이 일어나고 있다. 신(新)-파시즘이 자리 잡아 가는데, 이와 비교하면 옛날 식 파시즘은 민속(民俗)처럼 보일 지경이다… 신-파시즘은 …
Read More

LLM AI 기술은 ‘가성비’와 ‘사회적 제어’ 문제에 부응하는가?

나는 기술 마니아다. 그래서 어렸을 때는 이공계(이과)를 지망했다. 대학도 처음에는 생명공학 쪽으로 입학했고. 비록 실험(조작)이 싫어서 이공계의 길을 단념하고, 다시 미학-철학으로 이어지는 길을 걸었지만, 기술에 대한 애정을 버린 적은 한 번도 없다. (집에서 간단한 배관, 납땜, 부품 교체, 조립 등은 손수 한다.) 내가 최근에 인공지능 기술의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한다고 해서 기술에 대한 애정이 애초에 없었거나 …
Read More

AI 의사결정이 초래할 네거티브 피드백

《스켑틱코리아》 최신호(38호, 2024)의 AGI 특집은 흥미로운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나는 특히 아래 소개할 글이 함축하는 파장을 더 깊게 고찰해야 한다고 본다. 저자들은 AI에게 의사결정을 맡길 경우 ‘네거티브 피드백'(이건 나의 표현임)이 작동해 의사결정의 품질이 점점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AI 생성물을 학습할 때 생성물의 품질이 열화되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일독을 권한다. 우르스 가서(Urs Gasser), 빅토어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