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집필 중인 책은 지금까지 출간했던 책들과 성격이 많이 다르다. 가제는 《다시 몸으로: 읽기, 걷기, 쓰기의 힘》이다. 내용이 짐작되시는지? 현장의 경험과 이론적 사색을 통해 오랫동안 고심해온 이 책의 내용은 오롯이 ‘역량 교육‘의 관점에서 구성되었다. 여기서 교육은 초중등 교육은 물론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을 아우른다. 즉, 전체로서의 인간 교육을 지향한다. 지금 시점에 교육을 언급하는 까닭은 우리 사회가 교육을 …
Read More
Author:독재자
철학자.
386은 엘리트가 맞다
[2020년 7월 23일에 작성한 글인데, 대학 개혁을 위한 참고 글로 다시 공유함] 검색할 여력이 없어 기억에 의존하자면, 386세대를 명명한 것은 조선일보였고, 한겨레가 바로 받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항간에 이 명칭이 잘못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오히려 나는 이 명칭이 아주 정확하다고 본다. 386세대는 19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에 대학을 다닌 30대 유력인사(주로 정치인)를 호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일단 이들은 …
Read More
타인을 이해하려 어디까지 노력해야 할까?
타인을 이해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나 자신을 이해하기도 어려운데 하물며 타인을 이해한다고? 하지만 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많은 타인을 만나고 또 소식을 전해 듣는다. 관계 속에서 살려면 타인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윤리의 첫 번째 과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타인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느냐와는 별개로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어디까지 얼마나 노력해야 하느냐 하는 문제가 있다. …
Read More
김성우, 엄기호,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따비, 2020) 주요 구절
김성우, 엄기호,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따비, 2020)는 흥미로운 책이다. 문해력 혹은 리터러시라는 주제를 놓고 응용언어학자 김성우 선생과 사회학자 엄기호 선생이 나눈 대담을 정리한 것인데, 이 주제에 대해 언급할 수 있는 어지간한 범위를 망라하고 있다. 동의할 수 있는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이 두루 섞여있는데, 동의하기 어려운 내용은 주로 두 저자의 생각 내적으로 충돌하는 지점과 관련된다. 즉,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