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모델(Language)의 미래는 세계 모델(World Model)?

현재 가장 유명한 인공지능은 ‘언어 모델’(Language Model)이다. 여기서 ‘모델’이란 중핵(core) 프로그램이라고 이해하면 무난하다. 즉, ‘언어 모델’이라 함은 중핵에 ‘언어’가 있다는 의미다. 챗GPT, 클로드, 제미니, 하이퍼클로바X 등이 이에 속한다. 여기에 ‘텍스트+X’의 짝짓기 형태로 확장한 것이 ‘멀티모달’(multi-moda)이다. 모드(mode) 혹은 모달리티(modality)가 여럿이라는 뜻이다(가령 텍스트+이미지, 텍스트+소리, 텍스트+코드 등이 엮여 있다). 얀 르쿤은 ‘언어 모델’은 한계가 분명하다고 말한다. 언어는 세계의 …
Read More

인문학의 ‘쓸모’와 ‘지원’을 둘러싼 담론에 보태

지금 쓰고 있는 책의 일부를 미리 공유합니다. 인문학의 두 부류와 확장된 인문학 : 개념 정리 우리 사회에서 ‘인문학’을 거론하게 되면 항상 헷갈리는 두 가지가 있다. 우리 사회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이런 혼동이 관찰된다. 요컨대 지금 시대에 인문학은 단일하게 이해되지 않고 항상 섞여 있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래서 인문학을 둘러싼 이미지를 세분할 필요가 있다. 유래를 거슬러 …
Read More

2025년 들뢰즈 탄생 100주년 및 사망 30주년 기념 행사

내년 2025년은 프랑스 현대 철학자 질 들뢰즈(1925.1.18~1995.11.4) 탄생 100주년 및 사망 30주년입니다. 들뢰즈가 인류에게 남긴 철학적 선물은 층과 깊이에서 남다릅니다. 서양 철학사의 새로운 해석과 발굴, 혁명과 파시즘 문제를 천착해 내놓은 ‘자본주의와 분열증’ 연구라는 정치철학, 감각의 창조라는 관점에서 본 미학과 예술철학, 기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기술철학, 왕립 과학에 맞선 유목 과학이라는 과학철학의 새 길, 영화를 소재로 …
Read More

리터러시의 정의 : 유네스코와 OECD

리터러시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의가 궁금해졌다. 여러 연구자, 그리고 교육부와 여러 교육청의 보고서를 봐도 제각각 소개되어 있어서 종잡을 수가 없어서다. 그래서 대표적인 정의를 찾아보았다. 바로 유네스코와 OECD. 유네스코(UNESCO 2004: “The Plurality of literacy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programmes”, Education Sector Position Paper. Paris, UNESCO.)의 정의는 이렇다. “문자력은 다양한 맥락과 연관된 인쇄 및 필기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