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5일 네그리 추모 학술대회 관람기

오늘 ‘네그리 추모 학술대회’를 11시부터 7시 넘어서까지 시청. 몇 가지 소감. 네그리의 사상에 대해 많이 배움. 스피노자-들뢰즈로 연결되는 존재론에 거의 전적으로 기대고 있음. puissance (potentia), multitude 같은 개념. 개인적으로 전자를 ‘활력’으로 후자를 ‘다중’으로 옮기는 데 대해서는 이해가 안 감. <안티 오이디푸스> 1장을 꼭 읽어야 이해 향상될 것. common을 ‘공동’이 아니라 ‘공통’으로 옮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령 …
Read More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8편) : 기호와 추상 능력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1편)”]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2편) : 국내 연구 현황]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3편) : 종이책은 완성된 기술이다]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책의 일그러진 비유일 뿐이다 (4편) : 논문 “디지털 시대의 동적 읽기: 인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2023) 정리 (1/2)] [전자책은 책이 아니라, …
Read More

서평: 《고쿠분 고이치로의 들뢰즈 제대로 읽기》

[9년 전의 글] 역자와 출판사에서 각각 증정해 주겠다고 해서 고맙게 한 권 받아 완독했다. 독후감으로 사의를 표해야 하나, 아직 좀 바빠서 간략하게 평하겠다. 1. 이 책은 일본 학계의 저력을 여실히 보여주는 작품이다. 우선 들뢰즈&과타리의 전 저작이 일본어로 번역되어 있음은 물론, 다른 참고문헌들도 대체로 일본어로 접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나미 100주년 기념의 1권으로 나왔다는 사정 또한 …
Read More

인문학의 돌파구를 고민하자 (3) : 중국도 일본도 망했다 (적어도 교육만 놓고 보면)

앞서 언급한 보고서(송승철 외, <인문학 : 융합과 혁신의 사례들>)를 읽으며 느낀 아주 중요한 점이 하나 있다. 요점부터 말하면, 중국과 일본의 교육은 망했다는 것. 교육이 망했으므로, 나라의 미래도 어두워보인다. 먼저 중국을 보면, ‘통식(通識)교육'(인문융합교양교육을 가리키는 중국 용어)의 지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통식교은 “‘생존’을 위한 대학 경쟁력의 강화 방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 강국으로서 G2에서 향후 ‘새로운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