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어에서 'be'는 있다/존재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또한 연결사(copula)로도 쓰입니다.그래서 존재와 존재자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좀 헷갈리더군요. 특히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있다'와 '이다'는 별개의 단어입니다. 내 생각에는 하이데거가 너무 유럽중심적인 독단에 빠진듯합니다. 중국어에서도 존재(있다:有,在)와 연결사(이다:是)는 다른 글자를 씁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고문살인의 전말 (김동렬 펌) [5] | 철학자 | 2009.05.24 | 256186 |
공지 | 애도 노무현 [3] | 철학자 | 2009.05.23 | 289379 |
공지 | He will and should and must be back [5] | 철학자 | 2009.04.18 | 263309 |
공지 | 그 때는 우리가 참 강했다 | 철학자 | 2008.02.22 | 277864 |
152 | 루소에 대한 러셀의 평가의 한 대목 | 김재인 | 2005.03.15 | 3323 |
151 | [re] 루소에 대한 러셀의 평가의 한 대목 [3] | 김시원 | 2005.03.21 | 3768 |
150 | 책세상 판 니체 전집 단상 [7] | 김재인 | 2005.04.17 | 7253 |
149 | 니체가 쓴 책 가운데 이런 제목이 붙은 책도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9] | 폴리실러블 | 2005.05.11 | 3898 |
148 | 요즘 니체전집 유고를 읽으면서 느끼는 것. | 신승원 | 2005.05.13 | 3405 |
147 | 하이데거가 니체 비판한거 도대체 모르겠어요 [8] | 김경민 | 2005.05.15 | 4286 |
» | 하이데거의 '존재' 개념 [2] | 큰파도 | 2005.05.22 | 3334 |
145 | 니체의 미학 책 추천바랍니다. [9] | han | 2005.05.28 | 4951 |
144 | 이글의 출처좀 알수있을까요? | min | 2005.05.29 | 3505 |
143 | 니체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이나 상황에대해알고싶스 [1] | min | 2005.05.31 | 4332 |
142 | 니체 [3] | 휴 | 2005.06.02 | 3391 |
141 | 너무 궁금한게 있어서요.... [6] | 서혜리 | 2005.06.07 | 3403 |
140 |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 [13] | 너구리니체 | 2005.06.07 | 3541 |
139 | 아리스토텔레스의 entelecheia [5] | 장준호 | 2005.06.20 | 3407 |
138 | 백승영 교수가 책을 내셨네요... [12] | 신승원 | 2005.06.22 | 7555 |
137 | 데리다 <법의 힘> 서평 [7] | 김재인 | 2005.06.24 | 4077 |
136 | 이상주의 | 김재인 | 2005.08.05 | 3395 |
135 | 백승영 교수의 인터뷰. | 신승원 | 2005.08.18 | 7903 |
134 | 단테의 트라수마나르와 니체의 위버멘쉬 | 벤야민 | 2005.08.30 | 4445 |
133 | 상식 = 상투적 지식 | 김재인 | 2005.09.05 | 3267 |
중국어에서도 두 가지 표현이 가능한데, 주로 두번째 표현을 쓰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