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권력화하는 인문학자

미리 결론: 인문학 관련해서 글이 어려울 때는, 쓴 사람이 모르고 썼다고 의심하면, 대충 맞다.


어느 학자의 말을 빌려 글을 시작하겠다.

“인문학자들이 남에게 빌려온 글을 높이 받들면서, 우리말을 하찮게 여기는 것은 매우 오래된 고약한 버릇이다. 이들은 이렇게 하는 것은 밖에서 빌려온 낮선 낱말, 문장, 지식 등을 써서 말을 권력의 도구로 삼으려는 까닭이다. 이들은 입으로 소통을 말하면서도, 알아듣기 어려운 말을 써서, 사람들을 무식한 상태로 몰고 가서 누르고 부리려 한다. 사람들이 이런 식의 인문학을 외면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인문학이 널리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학자들이 남의 말을 빌려와서 누르고 부리는 도구로 삼는 버릇부터 고쳐야 한다.”(최봉영)

나는 물론 모든 글과 말이 다 쉬울 거라 기대하는 사람이 아니다. 게다가 글의 경제성이라는 것도 있어서, 굳이 길게 풀어 쓰지 않더라도 전달 가능한 경우 짧게 쓰는 것을 선호하며 당연시한다. 또한 개념과 일상어의 간극에 대해서도 그 어쩔 수 없음을 심각하게 고려한다.

문제는 이런 기본적인 조건들과는 무관하게 어렵게 실행되는 언어활동인데, 이는 본인이 잘 알지 못하면서 말하는 경우이거나 아니면 현학 취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본다. 이태수 선생은 ‘쉬운 말’을 늘 강조하셨는데, 이는 그 분의 지력(知力)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넘쳐나기에 가능한 태도였다. 두 부류의 사람이 있는데, 쉬운 말을 두고 어렵게 쓰는 사람과 어려운 것을 쉽게 말하는 사람이 이들이다.

삶과 세상의 깊이는 어려운 말로만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삶의 터전에 뿌리를 둔 언어에서 시작할 때 인문학은 넓어질 수 있으리라. ‘외계어’라는 것이 뭐 별거겠는가. 쉬우면서도 깊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인문학자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내가 쓴 책의 한 대목을 통해 하려는 말을 대신하겠다.

이 지점에서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어요. 나는 외국어로 된 여러 철학 책을 한국어로 번역했고, 꽤 많은 학생들 및 시민들을 상대로 철학 강의를 해왔어요. 이 과정에서 가장 문제라고 느낀 건 철학과 일상적 삶의 괴리예요. 무슨 말이냐 하면, 철학이 삶의 문젯거리들을 대상으로 삼지만 철학 용어들은 지나치게 현실 언어와 동떨어져 있다는 거예요. (…)

철학을 조금 더 접한 사람은 ‘사유思惟’라는 말이 있지 않느냐고 되물을지도 모릅니다. 데카르트가 사용한 원래 의미를 따르면 ‘사유’와 ‘생각’은 전혀 차이가 없어요. 그렇지만 한국어에서 ‘사유’는 ‘생각’과 달리 일상에서 떨어진, 뭔가 특별한 사람들의 행위인 것으로, 아니면 일상인에게는 특별한 계기에나 찾아오는 비일상적인 일로 느껴질 뿐입니다. 우리가 늘 생각하며 살고 있다는 점을 가리는 독특한 은폐 효과를 낳고 말아요. ‘사유’가 ‘생각’을 가려버리는 겁니다. 가령 ‘생각 없이 산다’라고 하면 부정적 어감이 있지만, ‘사유하지 않고 산다’라고 하더라도 일상적으로 부정적인 느낌을 주지는 않거든요.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같은 불교 유물에서 확인되듯이, 사유’라는 말은 이미 벌써 뭔가 특별하고 전문적인 활동을 가리킨다고 여겨지고 있어요. (…)

기존의 철학 용어를 사용해야 깊은 생각에 이르는 것도 아니고 일상어를 쓴다고 그게 보장되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최소한 지금까지의 철학적 작업이 이룬 성취를 최대한 일상 언어로 표현할 때에만, 깊이 생각하는 사람이기만 하다면 일상어를 통해서도 철학적 성취의 열매를 나눠가질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이렇게 한다고 쉬워지란 법은 없어요. 생각의 깊이라는 것이 분명히 존재하니까요. 그러나 생각을 열어놓는 것이 사유의 울타리를 치는 것보다는 좀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내가 짚고 싶은 대목은, 왜 ‘생각’이라는 평범한 말 대신 ‘사유’라는 어려운 말을 철학계에서 선호할까 하는 점이에요. 물론 단순히 관습 때문일 수도 있어요. (…) 아니면 권위 때문일 수도 있어요. 누구나 다 이해할 수 있는 말을 쓰면 구획과 권위를 잃을 위험이 있겠지요. 그래서 전문어를 사용함으로써 ‘구별 짓기’를 하는 거죠. 법조계는 법조계대로, 의료계는 의료계대로, 또 다른 학계는 그 나름으로, 심지어 노가다 판에선 노가다 판대로… 나름의 전문어를 씀으로써 대중의 섣부른 도전에서 자신을 지키려는 거죠. 선무당이 사람 잡는 것을 피하려는 목적도 있는 거라고 좋게 봐줄 여지도 있어요. 하지만 대개는 자신의 영토(일본어로 ‘나와바리’라고 하죠)를 지키기 위해서인 경우가 더 많아 보여요.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동아시아, 2017) 101~104쪽.

(2018.03. 마지막 수정)

Comments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