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영 교수가 번역한 들뢰즈의 《대담》(원제는 《협상들》)의 한 구절에 대한 비평

다음 문장을 읽고 무슨 뜻인지 설명하시오(20점).

“영화, 그것은 우선 운동-이미지입니다. 이미지와 운동 사이에 ‘관계’조차도 없어요. 영화는 이미지의 자동-운동을 창조합니다. 그러고 나서 영화가 ‘칸트적인’ 혁명을 이루면, 다시 말해서, 영화가 시간을 운동에 종속시키지 않게 되면, 그리고 운동으로 시간의 독립을 만들어 낸다면(거짓 운동을 시간의 관계들로 제시하는 것), 영화적 이미지는 시간-이미지가, 이미지의 자동-시간화가 됩니다.”(126쪽)


들뢰즈가 〈상상계(l’imaginaire)에 대한 의심들〉(1986)에서 말한 내용이다. 위 번역은 신지영 교수가 번역한 들뢰즈의 책의 한 구절이다. (번역서에 대한 첫 인상과 촌평은 글 맨 뒤에 있음.) 매우 유감스럽게도, 이 구절에는 6개의 오류가 있다. 이를 찬찬히 살펴보겠다.

우선 원문과 영어본의 구절을 각각 제시하겠다.

“Le cinéma, c’est d’abord l’image-mouvement : il n’y a même pas un «rapport » entre l’image et le mouvement, le cinéma crée l’auto-mouvement de l’image. Puis, quand le cinéma fait sa révolution «kantienne », c’est-à-dire quans il cesse de subordonner le temps au mouvement, quand il fait du mouvement une dépendance du temps (le faux mouvement comme présentation des rapports de temps), alors l’image cinématographique devient une image-temps, une auto-temporalisation de l’image.”(PP 92)

“Cinema begins with the movement-image — not with any “relation between image and movement even: cinema creates a self-moving image. Then, when cinema goes through its “Kantian” revolution, that’s to say when it stops subordinating time to motion, when it makes motion depend on time (with false moves manifesting temporal relations), the cinematic image becomes a time-image, an autotemporalization of the image.”(65)

한 문장씩 검토해 보자. 존대법은 고려사항이 아니며, 비교가 되는 부분의 강조는 내가 했다.

우선 첫 문장. “영화, 그것은 우선 운동-이미지입니다.” vs. “영화, 그건 무엇보다 운동-이미지이다.” 이건 큰 오류라고 보긴 어렵다. 글을 읽는 감각의 문제다.

둘째 문장. “이미지와 운동 사이에 ‘관계’조차도 없어요.” vs. “이미지와 운동 사이에는 ‘관계’라 할 만한 것조차 없다.” 들뢰즈는 ‘이미지’와 ‘운동’이 같은 것이기에 둘 사이에 관계라 할 만한 것조차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따옴표를 붙여 “관계”라고 표현했다. 사람들이 보통 말하는 그런 ‘관계’가 없다는 뜻이다.

셋째 문장. “영화는 이미지의 자동-운동을 창조합니다.” vs. “영화는 이미지의 자기-운동을 창조한다.” auto의 전형적 오역이다. auto는 그리스어 αὐτο(아우토)를 로마 알파벳으로 적은 것으로, ‘자기'(self)라는 뜻이다. 라틴어의 ego, 영어의 I다. 그래서 l’auto-mouvement은 ‘자기-운동’이고, (다음 문장의) une auto-temporalisation은 ‘자기-시간화’다. 문맥상, 스스로 운동하고, 스스로 시간화한다는 뜻이다. 이 문장은 스스로 운동하는 이미지를 영화가 창조한다는 뜻이다.

넷째 문장. 첫 부분. “그러고 나서 영화가 ‘칸트적인’ 혁명을 이루면,” vs. “다음으로, 영화가 ‘칸트적’ 혁명을 해낼 ,” 이 부분은 ‘칸트적 혁명’이 무엇인지 알아야 이해된다. 다음 부분에 첫째 부연 설명이 있다. “다시 말해서, 영화가 시간을 운동에 종속시키지 않게 되면,” vs. “다시 말해, 영화가 시간을 운동에 종속시키기를 멈출 때, ” 이어서 둘째 부연 설명. “그리고 운동으로 시간의 독립을 만들어 낸다면” vs. “그리고 운동을 시간에 의존하는 것으로 만들 때“. 둘째 부연 설명에 대한 설명이 괄호 안에 나온다. “거짓 운동을 시간의 관계들로 제시하는 것” vs. “시간의 관계들의 제시로서 가짜 운동“. 사실 여기까지 언급된 ‘칸트적 혁명’의 의미는 내가 논문으로 정리한 바 있다(참고: 들뢰즈의 칸트 해석에서 시간이라는 문제) 요약하면, 시간이 운동에서 독립해서 독자성을 확보한 것이 칸트적 혁명이다. 영화는 이를 잘 보여준다. 특히 전후(戰後) 운동-이미지가 위기 혹은 파탄에 빠지고 시간-이미지가 본질적인 것으로 등장할 때, 더욱 그러하다. 이것이 ‘지각-행동’의 회로에 갇힌 운동 혹은 ‘감각-운동 도식’ 속 운동이 아닌 시간을 드러내는 ‘가짜 운동’이라는 말의 뜻이다. 셋째 부분. “영화적 이미지는 시간-이미지가, 이미지의 자동-시간화가 됩니다.” vs. ” 영화 이미지는 시간-이미지, 이미지의 자기-시간화가 된다.” 방금 설명했듯, 영화는 이제 스스로 시간화하는 이미지가 된다.

아래는 딥엘로 번역하고, ‘움직임’을 ‘운동’으로 바꾼 것이다. 평가는 독자가 알아서 할지어다.

“우선, 영화는 이미지-운동이다: 이미지와 운동 사이에는 ‘관계’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영화는 이미지의 자기 운동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영화가 ‘칸트적’ 혁명을 일으킬 때, 즉 시간을 운동에 종속시키지 않을 때, 운동을 시간의 종속으로 만들 때(시간 관계의 표현으로서의 거짓 운동), 영화적 이미지는 이미지-시간, 이미지의 자기 시간화가 된다.”

 


들뢰즈의 책이 번역되어 나왔다. 30년 전, 들뢰즈의 책 중에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던 단행본으로, 이번엔 신지영 교수가 재번역했다. 가독성 면에서 전의 번역보다 훨씬 낫지만, 몇 가지 불만이 있다.

1. 우선 책 제목

역자는 《대담》으로 옮겼다. 원제는 Pourparlers. ‘협상, 협의’라는 뜻이다.
《라루스(Larousse) 사전》에는 Entretiens préalables à la conclusion d’une entente, d’un traité ou en vue de régler une affaire : Entrer en pourparlers라고 되어 있다. 직역하면, 합의나 조약에 앞선, 혹은 사건 해결을 위한 논의 : 협상에 돌입하다.
들뢰즈가 (한국어 역자가 번역에서 빠뜨린) 프랑스어 원서 7쪽에서 다음과 같이 명백하게 밝힌다. “전쟁의 일부인지 아니면 벌써 평화의 일부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협상(pourparlers)이 너무 오래 지속되는 때도 있다. 실로 철학은 시대에 대한 분노와도 시대가 우리에게 약속하는 평정과도 분리될 수 없다.”
이런 사정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번역을 빠뜨리면서도 ‘옮긴이 서문’에서 “인터뷰들의 모음집인 이 책이 ‘협상’의 뉘앙스를 갖는다고 보기는 무척 어렵다”고 밝힌다(번역 12쪽).

2. ‘과타리’를 ‘가타리’로 표기

들뢰즈와 ‘자본주의와 분열증’ 두 권을 함께 쓴 F. Guattari는 연구자 사이에서 ‘과타리’라는 표기로 정착되고 있다. 이는 과타리와 교류했던 지인들의 증언에서 확인된다. ‘과테말라’라고 할 때의 그 ‘과’ 말이다.

3. 사소하지만은 않은 오역 (아래는 한국어 판 쪽수)

– 35쪽: ‘무의식-기계, 분열증적 무의식’은 ‘기계-무의식, 분열증적 무의식’이 되어야 함
– 39쪽: ‘이 장치들(초자아, 자아, 그것)의 인격화’는 ‘이 장치들(초자아, 자아, 이드)의 인물화’가 되어야 함. ‘그것’은 프로이트가 만든 조어 das ES의 프랑스어 번역인 le Ça의 번역으로 맞지 않음. 역자는 ça로 읽은 듯. 또한 personnification 혹은 personne은 ‘인격’과 상관 없는 말. 아빠, 엄마, 나 같은 인물을 가리킴.
– 41쪽: ‘우중충하고 작은’은 ‘더럽고 작은’이 맞음. 이 구절은 dirty little secret이라는 D. H. 로런스의 구절을 들뢰즈와 과타리가 인용한 것임.
– 45쪽: ‘능동적이고 실증적인 도주선들’은 ‘능동적이고 정립적인 도주선들’이 되어야 함. posotive라는 형용사는 poser(정립하다)에서 유래. ‘실증’과는 아무 상관 없음.
– 59쪽: ‘[인터넷] 망’에서 ‘인터넷’이라는 삽입구는 일단 시대착오적. 1980년 당시에는 대중에겐 인터넷이 존재하지 않음. 미니텔마저 1982년에 서비스 시작. 들뢰즈가 언급하는 맥락상 ‘인적 네트워크’ 정도로 이해됨.
– 61쪽: ‘내면적 언어의 화용론’의 원문은 une pragmatique d’un langage intimiste임. intimiste는 intime(내면의, 내밀한)의 최상급 표현이며, 여성형 명사인 pragmatique을 수식함. 따라서 ‘언어(활동)의 가장 내밀한 화용론/화행론’ 정도가 되어야 적절. 번역어 선택은 별개의 문제로 삼더라도.
– 64-65쪽: ‘어떤 유형의 공간, 아주 특별한 인간과 기술적이고 정서적인 요소들(무기와 장신구)의 구성’은 ‘공간의 특정한 유형, 아주 특별한 인간들과 기술적이고 기운적인 요소들(무기와 장신구…)의 합성/조성’이 되어야.
– 65쪽: ‘사행(事行)’으로 옮긴 ‘processus’는 ‘과정’임. 굳이 ‘사행’에 대응하는 용어는 ‘procès’로 ‘소송'(카프카의 유명한 소설 제목이기도 함)이라는 뜻도 있음. 용어 이해를 뒤집어서 했음.
– 70쪽: ‘도주선으로 구성되는 선적인 배치’라? 우선 원문은 un agencement linéaire qui se construit sur des lignes de fuite임. 따라서 ‘도주선들 위에서 자신을 구성하는 선형 배치체’라고 해야 함. ‘배치체’라는 번역어 선택 문제는 차치하고, sur를 어떻게 이렇게 옮겼는지…?
– 71쪽: ‘도주선이 필연적으로 창조적이라거나, 매끈한 공간은 분절된 공간이나 홈패인 공간보다 낫다거나, 비릴리오가 보여준 것처럼 핵잠수함이 전쟁과 공포를 위하여 매끈한 공간을 재구성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이건 어이없는 오역. 원문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음. ‘도주선이 필연적으로 창조적이라거나, 매끈한 공간은 분절된 공간이나 홈패인 공간보다 낫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비릴리오가 보여준 것처럼, 핵잠수함은 전쟁과 공포를 위하여 매끈한 공간을 재구성합니다.’
– 72쪽: ‘글쓰기 그 자체가 내재성의 느낌, 즉 무엇인가가 일어나리라거나 우리의 등 뒤에서 이미 일어났다는 느낌을 주게 된다면 그건 흥미로운 일입니다.’ 이 문장에서 ‘내재성’은 immenence(임박)을 immanence로 잘못 읽고 한 번역. 이런 문장에서 ‘내재성’이 갑자기 나올 리가 없지.
이상은 1부의 두 번째, 세 번째, 즉 ‘자본주의와 분열증’의 1권(《안티 오이디푸스》)과 2권(《천 개의 고원》)이 출간된 직후에 가진 인터뷰만 훑었을 때 발견된 문제임.

4.

책 말미의 ‘control’을 ‘통제’라고 옮긴 점도 불만. 물론 이런 뜻이 있긴 하지만, 이 개념은 푸코의 뉘앙스가 풍기는 개념(그건 ‘훈육’ 또는 ‘규율’)과 구별해야 하며 ‘통제’라고 옮기면 뜻의 절반이 사라짐. 사이버네틱스에서 나오는 ‘제어’ 정도가 무난. ‘통제’는 강제적이고 타율적이지만 ‘제어’는 자율과 타율이 교차.

5.

번역이 노고임은 해본 사람이면 누구나 아는 사항이고, 노고에는 감사하되, 30년 만에 다시 번역된 책이 더 정확했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음. 국내 들뢰즈 학계의 층이 얇아도 너무 얇은 탓이 아닐는지… 나? 그래도 꽤 정확한 번역으로 《안티 오이디푸스》와 《베르그손주의》를 번역 소개했고, 22년 전에 번역한 《천 개의 고원》은 고치고 싶어도 고칠 수 없는 운명이라. 쩝.

(2023년 12월 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5 thoughts on “신지영 교수가 번역한 들뢰즈의 《대담》(원제는 《협상들》)의 한 구절에 대한 비평

  1. 본인도 번역문제로 가루가 되도록 까이셔놓고…페북도 그렇고 김재인씨 집요할 정도로 계속 이 번역서 저자를 하이에나처럼 물어뜯고 계시네요, 다른 의중이 있나 궁금할 정도ㅋㅋ 다른 연구자한테 본인 욕먹은 원한이라도 푸는건가요? 들뢰즈 독자층을 얉게 만드는 사람은 김재인씨 본인이 아닌지… 저는 이 대담이라는 책을 김재인씨의 다른 들뢰즈 역서보다 훨씬 가독성있게 읽었습니다. 김재인씨는 본인이나 잘하시길 바랍니다, 안티오이디푸스를 정확하게 번역했다는 말에서 어이가 없네요, 지금도 그 책 읽다가 의아하고 열뻗치는 부분이 한두군데가 아닌데요, 그럼에도 김재인씨처럼 집요하게 이러진 않죠ㅎㅎ

    1. 비겁하게도 근거가 하나도 없는 글입니다. 주장만 하지 말고, 출처와 전거를 밝히면서 의견 주기 바랍니다. 이 말을 하기 위해 회원가입까지 한 것을 보면 안쓰럽기까지 합니다. 한 번 더 말하지만, 어느 글, 몇 쪽의 어떤 문장(들)인지 밝히지 않으면 답변하지 않겠습니다.

      1. 본인이 쓴 ‘박노자 비판’은 기억 못하시나요? -> “박노자의 《당신들의 대한민국》이었던가, 아니면 다른 칼럼이었던가, 잘 기억나진 않는다. 아무튼” > 이런 논조가 ‘비판’에 해당될 수 있는지요?

        김재인 박사 당신도 게시글에서 “비겁하게도 근거가 하나도 없는 글”을 쓰며. “주장만 하”고, “출처와 전거”없이 글을 작성하시잖아요. 당신의 가독성 떨어지는 번역서들, 수준 낮은 입문서 등에 비해 안타깝지만 이진경, 신지영, 박준영, 이정우 선생님의 번역서와 들뢰즈 해설서가 훨씬 좋다는 것이 세간의 평가입니다. 번역서 몇개로 들뢰즈 전문가를 자처하지말고 학계에 제대로된 연구서와 논문들로 인정받으시기 바랍니다.ㅋ 자화자찬 들뢰즈 연구가 김재인님^^ 이 글은 비판이라기보다 조언으로 받아주시면 감사드립니다.

        불교와 생명 : 또는 ‘박노자’ 비판
        이번 포스팅은 많은 지지층을 가진 글쟁이 ‘박노자’ 교수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오래 전에 써놓았던 글이지만, 지금도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번 ‘김훈’을 비판한 글도 포스팅했지만(김훈의 수사벽), 저는 대중적 지지를 받는 이들을 심하게 비판할 때가 많습니다. 누군가가 저를 비판한다 해도 (기분이 좋지는 않겠지만) 그 행위를 비판하지는 않습니다. 서로 비판(인신공격 말고요)하고 반박하는 일이 더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박노자의 《당신들의 대한민국》이었던가, 아니면 다른 칼럼이었던가, 잘 기억나진 않는다. 아무튼 그의 글 중에 호국불교에 대한 강한 비판이 있었다. 불교 사상의 핵심이 생명 존중인데(살생의 금지도 포함한다), 이유야 어쨌건 살생을 일삼은 호국불교의 전통을 찬양하는 것은 국가주의에서 비롯된 이율배반이라는 것이다. 말이야 바른 말이다. 그러나 나는 그의 비판에서 이상한 점을 왜 아무도(?) 지적하지 않는지 늘 궁금했다.

        사실 박노자는 한국에 와서 쉽게(?) 교수활동을 하게 되었으니 소장 학자의 자잘한 고민과 고통도 모를 것이고 한국의 독특한 대학원 시스템과 교수 임용 과정도 몸소 겪진 않았으리라 짐작된다. 그의 입장이 지나친 순수주의요 근본주의라고 생각되는 까닭은 그의 독특한 이력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그저 개인적인 추측에 불과하니 큰 소리로 말하진 않겠다.

        아무튼 내가 이상하게 여긴 대목은 불교가 보이는 인간중심주의적 행태이다. 이를테면 동물과 식물을 차별하고, 특별히 동물을 우대하는 그런 대목. 아마 내가 불교의 심오한 면모를 몰라서 이렇게 어림짐작하는 것인지도 모른다(초기불교에서는 육식까지도 일정 범위에서 허용했다 하니, 내가 비판하는 건 제도화된 근래의 불교이리라). 채식주의자가 범생명존중사상 때문에 채식주의를 택했다면 그건 정당하지 못하다. 식물도 생명이므로. 아마도 다른 배려와 선택이 그를 채식주의자가 되게 했어야 옳다. 가령 현대 사회의 육식이 가져오는 생태계 파괴라는 측면 따위. 그렇지 않다면 채식주의건 불교건 사상으로서 정직하지 못한 것이리라.

        하나 더 덧붙이자면, 박노자의 논의에는 ‘국가가 먼저냐 종교가 먼저냐’ 하는 물음에 종교보다 국가를 택했다는 점을 국가주의로 비난하는 대목이 있다. 물론 나는 국가주의자가 아니다. 허나, 인간은 영토에 종속된 존재라는 점은 반드시 지적해야 한다고 본다. 그 영토가 초토화될 때 이른바 상부구조인 종교는 설 땅이 없어진다. 특히나 종교 제도라는 권력은.

        박노자의 생각에는 ‘힘의 관계’라는 개념이 결여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종종 있다. 특히 그가 우리 사회를 비판할 때는 묘한 느낌이 엇갈린다. 이방인의 시선에서 까발려진 부끄러움과 이방인의 시선이 주는 무례함. 시간이 갈수록, 그의 목소리엔 교수의 거리감이 느껴지고 구체적인 삶이 증발해버린 듯한 의구심이 커진다. 즉 비판을 위한 비판, 글 쓰기 위한 글이라는 느낌이.

    2. “데닛이 죽었다. 더는 쓰레기 같은 책을 낼 수 없게 되었군.” -> 이런 평가는 아마추어학자도 하지 않을텐데요. 나중에 비슷한 평가를 해드려도 되는지요. 데닛이 ‘쓰레기’면 ‘김재인’한테 어울리는 평가란? 사실 평가불가입니다. 김재인 박사가 그렇게 평가까지 받을만한 학자인지는 좀.. 순수 업적으로 보자면 데닛이랑 김박사를 비교하는 것은 마치 초등생물학을 배우는 중학생과 생물학 교수의 차이랄까요? 그냥 단상이니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시지는 마시구요 ㅎㅎ

      김씨의 훌륭한 연구를 위해 건투를 빕니다. ^^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