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은 AI가 아니라 플랫폼/생태계(였)다: OpenAI DevDay 2025 행사 관람평

2025.10.09 페이스북에 쓴 글을 기록 삼아 스크랩.

2025년 10월 6일 열린 이번 OpenAI DevDay 2025 행사는 ‘이제 AI 시대가 저무는구나’ 하는 생각을 안겨주었다. 수사rhetoric로서의 AI는 남겠지만, 본질은 AI보다는 다른 데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앞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플랫폼과 생태계’ 전략이다.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플랫폼/생태계는 누구였을까? MS, 구글, 애플이다. 이 셋은 OS, 검색, 앱스토어를 통해 플랫폼/생태계를 운영했다. 말하자면 사람들이 PC나 모바일에서 처음 켜는 앱이 무엇이냐의 문제다. 3강은 플랫폼과 생태계를 장악함으로써, 즉 사람들을 모아놓음으로써 시장을 창출했고 이익을 냈다. 이를 ‘가두리 양식장 전략’이라고 불러도 좋으리라.

따라서 관전 포인트는 8억 명이라는 주간 챗GPT 사용자를 어떻게 가두어 다른 플랫폼/생태계로 빠져나가지 않게 할 것인가이다. 다른 주요 AI 플랫폼은 앞의 3강에 더해 클로드의 앤스로픽, XAI, 딥시크 같은 중국계를 꼽을 수 있지만, 오픈AI가 활성 사용자 수 면에서 압도적으로 1위라는 점 때문에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당분간 물고기들, 아니 사용자들을 놓고 벌어지는 치열한 4파전이 예상된다.

이번에 발표된 오픈AI의 주요 발표, 1) Apps In ChatGPT, 즉 App SDK, 2) AgentKit, 3) Codex, 4) GPT-Realtime-Mini(즉 경량모델)은 그간 윈도, iOS, 안드로이드에서 동장하던/동작할 앱들을 챗GPT 플랫폼/생태계 안에서 개발해서 사람들이 쓸 수 있게 꼬시는 미끼다. 이것들은 전적으로 개발자를 위한 것들이다. 많은 제휴사들(삼성전자, SK 하이닉스, Spotify, Zillow, Canva, Booking .com 등)과 협력하는 것은 제휴사들 입장에서는 시장이 넓어지는 것이니 환영할 노릇이고. 또한 클라우드 강화 전략은 LLM을 OS나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플랫폼/생태계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각자가 지닌 기기에서 연산이 이루어지게 하면 서비스 오류가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사용자일 수 있게 하려면, 디바이스는 최대한 경량화하고 클라우드가 다 처리해야 한다. 개별 서비스 제공 업체 측에서도 그런 B2B 방식의 네트워킹이 바람직하다.

여기까지가 이번 OpenAI DevDay 2025 행사의 핵심이(라고 나는 파악한)다. 그럼 여기에서 AI는 어디에 있는가? 한편으로 이 모든 걸 관통한다고 해도 좋다. 하지만 다른 한편 LLM AI는 일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선(혁명?)이라고 평가한다면 의의를 너무 축소한 것일까? 나도 개인적으로 LLM 덕을 많이 보지만, 비LLM AI도 그에 못지않게 쓴다. LLM은 기계가 인간과 ‘대화 형식’ UI를 가능케 해주었고, 이는 분명 엄청난 성과다. 오픈AI의 이번 행사는 환각이나 오류 같은 LLM의 고질적 문제를 피해가는 현명한 전략의 결과다. 하지만 ‘지금까지 열광한 그 LLM AI’는 다 어디 갔는가?

결국은 플랫폼/생태계 전쟁이라는 오랜 전통의 전쟁이다. AI는 미끼일 뿐, 오히려 이 전쟁의 주변에 있다.

한국에서 네이버와 카카오톡(다음)이 어떤 전략을 구사했었는지 복기해야 한다. 지금 한국의 AI 전략은 얼마나 타당한가? 반도체와 인프라(데이터센터)도 필요하고, 개발자 양성도 필요하다. 앞으로도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핵심 기능을 구현하는 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딥시크의 예에서 보듯, 나아가 오픈AI의 큰 그림에서 보듯, UI를 매끄럽게 구현하는 수준이라면, 크게 어려운 장벽이 있지는 않다. 오히려 오픈AI의 전략을 보면, 더 중요한 건 다른 데 있다. 바로 사람, 즉 소비자다.

LLM AI는 변곡점에 왔다. 결국 사람이 지갑을 열지 않으면 모든 게 무의미하다. 그런데 사람이 자꾸 아프고 점점 더 많이 죽어간다.

 

Comments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