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활용한 글쓰기 (3) : 생성 AI를 학술적 글쓰기에 활용하는 법에 관한 전문가 제언

방금 던진 물음들을 곧장 다루기 전에, 생성 AI의 연구 활용 혹은 생성 AI를 통한 글쓰기에 관해 몇몇 전문가의 제언을 듣는 것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챗GPT가 처음 발표된 2022년 11월 30일 이후, 그리고 바드(제미니), 라마, 클로드 등 잇단 유사 경쟁 서비스가 출시된 2024년 8월 현재까지, 몇몇 연구자 혹은 연구 단체는 생성 AI라는 도구를 어떻게 활용해야 …
Read More

인공지능을 활용한 글쓰기 (2) : LLM 인공지능과 함께 글 짓는 과정 (사례 분석)

LLM 인공지능을 활용해서 글을 어떻게 쓰게 되는지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직접 해보는 것이 좋다. 이 책에서는 사례를 통해 이 과정을 보여줄 것이다. 2.1 인공지능 활용 글쓰기 : 실전 사례 먼저 다음 글을 함께 보자. 이 글은 내 페이스북 친구인 김지윤이 작성했으며, 대학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한 이력이 있다는 점에서 이공계 학생의 본보기로 삼기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이 과정은 …
Read More

인공지능을 활용한 글쓰기 (1) : 원리에 대한 이해

포스텍 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글쓰기》의 일부입니다. 1장. 원리에 대한 이해 이 소책자는 다음과 같은 물음들에 대한 답을 추구한다. 인공지능이 이공계 글쓰기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구체적으로 도움을 얻는 방법은 무엇일까? 유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 하지만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인공지능을 둘러싼 개념, 정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많은 학생이 자기 전공에 필요한 디지털 …
Read More

‘낭만’에 대하여 2 : 시민 교양은 어디까지 가야 하는가?

손석희 씨가 여전히 명사인 건 맞는 듯하다. 앵커 브리핑에서 소개한 ‘낭만’에 대한 해석이 틀렸다는 나의 지적에 반박(혹은 비꼼)이 많이 올라온다. 처음 알게 되었다는 놀라움을 표명한 이도 몇 되었고. 흥미로운 옹호는 서양 개념을 번역할 때 ‘한자의 뜻’도 고려했고 그것이 나름 유의미하다는 견해다. 여러 분이 언급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오해를 조금 풀어볼까 한다. 사실 서양어가 어떻게 동아시아(중,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