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와 팔레스타인 문제

근래에 봤던 논문/저서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논문 하나를 읽었다. Kathryn Medién, “Palestine in Deleuze” (2019), Theory, Culture & Society, Vol. 36(5), 2019, p.45-70. DOI: 10.1177/0263276418816369. (검색하면 원고 pdf를 쉽게 찾을 수 있음. 또한 어떤 분이 한글로 친절하게 번역해 놓아서 참조 가능함.) 이 논문은 들뢰즈의 저술 몇 편(1978, 1982, 1983, 1988)을 중심으로, 이스라엘 국가가 건국되면서 그 …
Read More

토론의 개방성의 딜레마?

보편적 언어란 없다. 자기가 생각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구체어가 있을 뿐이다. 가령 내 경우라면, 한국어. 물론 한국어도 단일한 보편어가 아니다. 한국어는 지역, 연령, 성별, 계층, 학력, 국적 같은 것들이 복잡하게 조합된 여러 언어의 집합이다. 이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저 요인들이 뒤얽혀 형성하는 집단마다 같은 한국어일지라도 맥락과 의미가 달라진다. 가령 ‘정의(justice)’라는 말의 정의(definition)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