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언어모델(LLM) 인공지능뿐 아니라 번역 특화된 인공지능(가령 DeepL, 구글번역, 파파고)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면서, 과연 인공지능 시대에도 외국어 공부가 필요한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곤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남보다 뭘 조금이라도 더 잘 하고 싶다면 외국어 공부는 여전히 필요하다. 외국어는 두 수준에서 고려할 수 있다. 먼저, 정보 전달과 단순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하다. 알고 싶은 것이 있을 때 한국어로 …
Read More
Author:독재자
철학자.
AI가 인간의 일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AI가 대신하게 될 일은 무엇일까? 꽤 오래 전부터 여러 예측이 있었다. 지금 시점에서는 아래 그림에서 보듯 ‘미술가, 음악가, DJ, 그래픽 디자이너, 웹 개발자, 슈퍼모델, 부모, 과학자, 교육자, 교사, 배우, 영화감독’ 등이 열거되고 있다. 지나치게 단순한 예측이겠지만,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이 목록은 ‘인간’과 ‘인간의 일’에 대한 몰이해를 대표한다. 더욱이 이런 풍조가 업계에 만연해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
Read More
GPT-4o 소감 :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지난 밤 사이 발표된 GPT-4o가 화제다. 기술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경탄해 마지않는다. 나도 2013년 영화 HER가 (거의) 실현된 것에 대해 놀라움을 느낀다. 물론 영화 HER의 인공지능 목소리 사만다가 별 놀라움을 주지 않았었다는 소감도 함께 말해야 하리라. 기술은 인간에 복무해야 한다. 물론 인간을 해치는 기술도 무척 많다. 그렇다고 해서 기술의 양면성을 말하는 건 하나 …
Read More
외워두자 : 기자들도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맞춤법, 어법
아래는 글을 쓸 때 자주 등장하면서도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맞춤법, 어법을 요점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제가 예전에 아주 잘나가는 논술 선생일 때 학생들에게 강조했던 내용을 자료로 정리했던 건데, 실제로 기자들도 많이 틀리는 사례들입니다. 적어도 이것들만 유의하면 어디 가서 한글도 모른다는 얘기를 들을 일은 없을 겁니다. ▶ 띄어쓰기 (아래 1, 2, 3 항목에 특히 유의) 조사는 붙여 쓴다. (틀리기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