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링 검사(Turing Test)는 유효한가? 튜링 검사를 통과했다고 주장되는 GPT-4의 경우

앨런 튜링(Alan Turing, 1912~1954)이 1950년에 발표한 논문 ‹계산 기계와 지능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에는 인간과 기계(인공지능)를 구별하기 위한 특별한 게임을 제안하는데, 이것이 훗날 ‘튜링 검사(Turing Test)’로 알려지게 된다. 튜링 평전에 기초한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The Imitation Game)›의 제목이 여기서 왔다. 튜링 검사의 핵심은, 보이지 않는 곳에 있는 상대 플레이어가 인간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해 심문자(interrogator)가 5분간 질의응답을 …
Read More

AI 디지털 교과서는 ‘잃어버린 세대’를 낳는다

* 광주일보 2024년 5월 28일자 칼럼입니다 2025년부터 초중고 학생에게 AI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 한 세대가 ‘잃어버린 세대’가 될 것 같은 우려가 마음 한 가득이다. 한 마디로 ‘기술’과 ‘교육’의 본질에 무지한 망국적 처사다. 종이책이 그 자체로 완성된 기술임을 모르고, 전자책의 학습 효과에 대한 고려가 없다. 극단으로 완성되어 앞으로 더 발전될 여지가 없는 이미 ‘완성된 기술’이라는 게 …
Read More

한국 니체 연구의 지지부진함 (예) : Perspektivismus

니체 철학의 주요 개념 중 하나로 소개되곤 하는 Perspektivismus (영어로 perspectivism)은 출판된 책에서 니체가 1887년에 딱 한 번 사용했다. FW 354절. 즉, 이 용어는 니체의 주요 ‘개념’이 전혀 아니다. 덧1. 이 용어의 번역어 중 최악은 ‘원근법주의’ 덧2. 출판되지 않은 책에 이 용어가 몇 번 더 나온다고 강변할 수는 있겠으나, 그도 3번 정도에 불과. 그렇다면, 이 …
Read More

최정균 《유전자 지배 사회》 유감

나는 ‘진화 심리학’이라는 접근을 좋아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진화 심리학이 생물학적 유전자 위주로 모든 것을 설명하려 하기 때문이다. 인간에게는 생물학적 유전자 외에도 문화적 유전자가 있다. 인간의 생물학적 유전자는 오랫동안 거의 변치 않았지만 문화적 유전자는 최소 지난 12,000 년 동안 가파르게 변했다. 인간이 문화를 진화시킨 맥락을 놓치는 한에서 진화 심리학은 인간에 대한 외삽적 재단에 불과하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