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켑틱코리아》 최신호(38호, 2024)의 AGI 특집은 흥미로운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나는 특히 아래 소개할 글이 함축하는 파장을 더 깊게 고찰해야 한다고 본다. 저자들은 AI에게 의사결정을 맡길 경우 ‘네거티브 피드백'(이건 나의 표현임)이 작동해 의사결정의 품질이 점점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AI 생성물을 학습할 때 생성물의 품질이 열화되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일독을 권한다. 우르스 가서(Urs Gasser), 빅토어 …
Read More
Author:독재자
생성 인공지능 열풍의 민낯
최근 발표된 ‘생성 인공지능 이용 조사 결과'(아래 그림 참조)는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안겨 준다. 첫째, 2023년 작년 내내 정말 떠들썩했고 수백조 원이 투자되었는데도 불구하고, 한국의 만15세~만65세 일반인이 이용한 경험 자체가 12.3%에 머물렀다. 소문 따로 실제 따로라는 얘기. 그렇다면 누구에게 일어났던 열풍일까? 돈의 흐름은 어떤 경로를 따랐을까? 외국의 경우는 어떨까? 한국보다 더 적은 수가 이용한 …
Read More
챗봇 인공지능은 글 읽는 능력(문해력)을 더 중요하게 만들었다
챗봇 인공지능(GPT, Claude, Gemini 등 편의상 ‘챗봇’으로 약칭)은 글을 쓰는가? 이 물음은 챗봇이 글쓰기의 주체일 수 있느냐는 것과 관련되며, 그에 대한 답은 부정적이다. 물론 저자/주체의 죽음 혹은 소멸을 주장한 구조주의 이래의 담론(롤랑 바르트,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등)에 따르면, 글쓰기 주체를 다시 소환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하지만 최소한 저작권 행사자로서 저자가 잔존해 있다면, 저자/주체의 죽음을 외치는 …
Read More
‘인공지능과 글쓰기’ 관련 참고문헌
강동훈 (2023), 챗지피티(ChatGPT)의 등장과 국어교육의 대응, 국어문학 82, 469-496쪽. 강정구 (2023), GPT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수업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5,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581-588. 권정민, 이영선 (2023), ChatGPT시대 인공지능교육정책의 문제점 고찰, 인공지능인문학연구 13, 9-38. 권태현 (2023),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와 작문교육의 방향 탐색 –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83, 한민족 문화학회, 137-174쪽. 기혜선 (2023), 대학생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