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에 외국어 공부가 필요할까?

초거대 언어모델(LLM) 인공지능뿐 아니라 번역 특화된 인공지능(가령 DeepL, 구글번역, 파파고)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면서, 과연 인공지능 시대에도 외국어 공부가 필요한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곤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남보다 뭘 조금이라도 더 잘 하고 싶다면 외국어 공부는 여전히 필요하다.

외국어는 두 수준에서 고려할 수 있다. 먼저, 정보 전달과 단순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하다. 알고 싶은 것이 있을 때 한국어로 된 문헌(잘 된 번역 포함)이 없으면 외국어로 손을 뻗어야 한다. 이 경우 인공지능의 역할은 외국어 문헌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일이다. 번역에 한계가 분명히 있지만(특히 철학에 근접할수록 잘 안 됨), 어지간한 내용은 알아볼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도 종종 지적되듯, 이 번역이 완전한 건 아니라서 종종 오류가 있고, 이런 상황에서는 직접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인간 번역도 완벽하지 않고, 아니, 틀리는 경우가 아주 많고, 직접 확인하기 어려우면 해당 언어의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것이 손쉽다. 외국어를 고려하는 첫째 수준에서 인공지능은 톡톡히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외국어를 한국어로 옮겨준다고 어려움이 끝나는 건 아니다. 그리고 이 점은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최소한 한국어 문해력을 갖추지 못했다면 번역된 내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O명 모집, 심심한 사과, 주인백, 금일, 사흘’ 등 최근에 문해력 결여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은데, 젊은 세대가 이 말들을 모른다고 지적하는 기성 세대를 꼰대라고 욕할 일만은 아니다. 번역된 문장에는 여전히 이런 낡은(!)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낡은 언어를 모르는 것이 핑계가 되긴 어렵다. 늘 주장해왔듯이, 문해력은 역량이기 때문이다. 할 줄 아느냐 모르느냐는 여전히, 앞으로 더 중요하다. 게다가 한국어이건 외국어건 어휘력 자체도 역량임을 부인할 수 있겠는가? 한국어 어휘는 무시하면서 영단어는 열심히 외워야 한다는 모순은 또 어떠한가?

둘째 수준에서 고려할 때, 외국어는 한국어로 오롯이 번역될 수 있는 비한국어가 아니다. 언어마다 다른 세계가 있다. 언어는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는 거의 같지만, 문화적으로는 상당히 다르다. 그런 문화의 중심에 언어가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서로 다른 언어를 많이 안다는 건, 세상의 해상도가 높아진다는 뜻이다. 한국어로 포착할 수 없는 세계를 중국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가 포착한다. 그 역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세상을 높은 해상도로 보려면 외국어 공부는 필수다. 외국어를 많이 공부할수록 뇌 활동이 활발해진다는 연구도 있다.

이상의 이야기를 남과의 경쟁 차원에서 이기기 위한 전략 차원에서만 들어서는 안 된다. 더 나은 자신이 되기 위해서 어째야 할까의 관점에서 보기 바란다.

Comments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