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중심으로 타인의 개념을 이해하기

학자들이 어떤 개념이나 용어를 쓸 때는 개인적인 취향이나 선호가 존재한다. 따라서 같은 언어를 쓰고 비슷한 시대를 살더라도, 같은 단어가 학자마다 뜻하는 바가 다를 수도 있고 다른 단어가 거의 비슷한 뜻을 가질 수도 있다. 가령 들뢰즈의 ‘차이’와 데리다의 ‘차이’는 둘 다 프랑스어로 differénce이지만 전혀 다른 뜻이다. 과감하게 단순화하면, 들뢰즈에게는 ‘시간 속에서의 생산’이라는 뜻인 반면, 데리다에게는 ‘동일성(identité)’과 대립하면서도 ‘동일성’을 정립하고 또 해체하는 ‘의미론적 생산’이라는 뜻이다(저 유명한 différance 개념이 이로부터 생겨난다). 따라서 들뢰즈와 데리다의 철학을 ‘차이의 철학’이라고 묶어 말하는 건 좀 무식한 짓이다. ‘차이’라는 개념을 쓸 때 둘의 통찰에는 공통점이 별로 없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면 어째야 할까? 특히 연구자가 이 두 철학자를 동시에 언급하게 되는 상황이라면? 사실 이런 상황은 드물지 않으며, 오히려 글을 쓸 때 아주 흔하게 맞닥뜨리는 상황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상황에 대해 미리 나름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대학에서도 잘 가르쳐주지 않는 것 중 하나이기도 하다.

여기에 필요한 것이 ‘문제’와 관련해 개념을 비판적으로 살피는 작업이다. 철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문제로 파악하고, 그것을 정리된 형태로 제시하고, 나아가 그 문제를 풀 수 있기 위한 단초를 찾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문제가 아닌 것이 다른 누군가에겐 문제일 수 있다. 바로 남이 문제라고 느끼지 않는 것을 예민하게 포착해서 이것이 모두에게 문제라는 것을 잘 드러내는 자가 철학자이다. 아니, 꼭 철학자에게 국한할 필요는 없으며, 창조의 최전선에 있는 자들은 모두 이런 류의 일을 행한다.

특히 철학자는 개념과 언어로 문제를 가공한다. 거꾸로 말하면, 개념을 창조함으로써 문제를 드러내는 일이 철학자의 임무이다. 들뢰즈가 철학을 ‘개념의 창조’라고 규정한 것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다. 연구자는 일차로 연구 대상인 텍스트에서 저자의 문제를 포착해야 한다. 문제가 꼭 의식적으로 드러나 있으란 법은 없다. 반쯤은 무의식적으로, 직관 속에서, 문제를 포착하기도 하니까. 그래서 가장 일차적인 접근은 문제 속에서 개념을 이해하는 일이다.

그 다음으로 더 중요한 일은 ‘자신의’ 문제 속에서 선배와 동료가 만든 개념을 재배치하는 일이다. 그것은 번역의 일종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으나, 사실은 자기의 문제와 관련해서 타인의 개념을 ‘이용’하는 작업이다. 타인의 개념이 온전하게 나의 문제틀에 들어올 수는 없다. 결국 연구자가 글을 쓸 때 관건은 타인의 개념을 고증적 수준에서 잘 가져왔느냐보다 자신의 문제에 맞게 적절하게 재가공했느냐이다. 단, 개념의 오남용을 권한다는 말은 아니다. 잘못된 이해 속에서 타인의 개념을 가져다 쓰는 일 말이다. ‘잘못된 이해’는 두 가지 맥락에서 해소될 수 있다. 하나는 연구자 자신의 문제가 별볼일 없어서 이해냐 오해냐가 상관 없는 경우. 더 나아가 타인의 개념이라는 권위를 담보로 활용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연구자가 빈곤할 경우. 어쨌건 훌륭한 문제라면 타인의 개념도 새롭게 덕을 본다.

요약하자. 타인의 개념을 장식으로 쓸 생각은 버려야 한다. 자기의 문제가 없다면 글을 쓸 생각을 접는 것이 좋다. 자기 문제가 진짜라면 모든 개념을 송두리째 만들어야 할 지도 모른다.

(2020.03. 마지막 수정)

Comments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