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 will and should and must be back. Who's he?
I know that reality is not ideal and that purity is not ideal concept. On purity Nietzsche mentions in Zarathustra a sea into which all the dirties flows but which always remains pure. What is real purity? It's like a sea. Yes, he is.
But sea is yet small, see must be an ocean. It takes time....
I know that reality is not ideal and that purity is not ideal concept. On purity Nietzsche mentions in Zarathustra a sea into which all the dirties flows but which always remains pure. What is real purity? It's like a sea. Yes, he is.
But sea is yet small, see must be an ocean. It takes time....
댓글 5
-
자유인
2009.04.19 16:08
purity 와 innocence는 같은 의미인가요? -
자유인
2009.04.21 23:27
그렇군요. innocence는 아이와 같은 순진무구함으로 모든 것을 긍정하는 것.
purity는 더러운 것들이 아무리 흘러들어와도 여전히 pure한, 하지만 그렇기 위해서는
sea가 ocean이 되어야 하고 그렇게 되는 데 시간이 필요한...
purity는 '사실'이라기보다는 어떠한 태도를 말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철학자
2009.04.19 20:29
같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innocence는 아이와 같은 무구함에 해당하지요. 다리를 놓자면 둘 사이에 연결점이 없지는 않습니다. -
지나가던이
2009.05.06 10:47
이 구절의 출전이 어떻게 되는지요? -
철학자
2009.05.06 12:17
Zarathustra 서설에 보면 나옵니다. 바다 이야기.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고문살인의 전말 (김동렬 펌) [5] | 철학자 | 2009.05.24 | 256186 |
공지 | 애도 노무현 [3] | 철학자 | 2009.05.23 | 289379 |
» | He will and should and must be back [5] | 철학자 | 2009.04.18 | 263309 |
공지 | 그 때는 우리가 참 강했다 | 철학자 | 2008.02.22 | 277864 |
152 | 루소에 대한 러셀의 평가의 한 대목 | 김재인 | 2005.03.15 | 3323 |
151 | [re] 루소에 대한 러셀의 평가의 한 대목 [3] | 김시원 | 2005.03.21 | 3768 |
150 | 책세상 판 니체 전집 단상 [7] | 김재인 | 2005.04.17 | 7253 |
149 | 니체가 쓴 책 가운데 이런 제목이 붙은 책도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9] | 폴리실러블 | 2005.05.11 | 3898 |
148 | 요즘 니체전집 유고를 읽으면서 느끼는 것. | 신승원 | 2005.05.13 | 3405 |
147 | 하이데거가 니체 비판한거 도대체 모르겠어요 [8] | 김경민 | 2005.05.15 | 4286 |
146 | 하이데거의 '존재' 개념 [2] | 큰파도 | 2005.05.22 | 3334 |
145 | 니체의 미학 책 추천바랍니다. [9] | han | 2005.05.28 | 4951 |
144 | 이글의 출처좀 알수있을까요? | min | 2005.05.29 | 3505 |
143 | 니체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이나 상황에대해알고싶스 [1] | min | 2005.05.31 | 4332 |
142 | 니체 [3] | 휴 | 2005.06.02 | 3391 |
141 | 너무 궁금한게 있어서요.... [6] | 서혜리 | 2005.06.07 | 3403 |
140 |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 [13] | 너구리니체 | 2005.06.07 | 3541 |
139 | 아리스토텔레스의 entelecheia [5] | 장준호 | 2005.06.20 | 3407 |
138 | 백승영 교수가 책을 내셨네요... [12] | 신승원 | 2005.06.22 | 7555 |
137 | 데리다 <법의 힘> 서평 [7] | 김재인 | 2005.06.24 | 4077 |
136 | 이상주의 | 김재인 | 2005.08.05 | 3395 |
135 | 백승영 교수의 인터뷰. | 신승원 | 2005.08.18 | 7903 |
134 | 단테의 트라수마나르와 니체의 위버멘쉬 | 벤야민 | 2005.08.30 | 4445 |
133 | 상식 = 상투적 지식 | 김재인 | 2005.09.05 | 3267 |